대한 곰팡이 협회 우수 인증기업 몰드원

세균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영향 박테리아

박테리아

곰팡이

조류인플루엔자

클라도스포리움

레지오넬라

에이즈

간상균

녹농균

감기아데노

살모넬라

대장균

슈퍼 박테리아

현재까지 2,0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엽록소가 없기 때문에 광합성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땅속, 물속, 공기속, 사람의 몸속 등 어느 곳에나 양분이 있으면 기생한다.
세균이 자라기 위해서는 양분과 함께 알맞은 온도와 습도 및 산소가 필요하다. 20℃ 이하에서 잘 자라는 것을 저온성세균, 55∼60℃에서 잘 자라는 것을 고온성세균이라고 하며, 그 중간 온도에서 자라는 것을 중온성세균이라고 한다. 그리고 산소를 필요로 하는 세균을 호기성세균, 산소 없이도 살 수 있는 세균을 혐기성세균이라 한다. 세균은 인간에게 이로운 유용세균과 해를 끼치는 유해세균이 있다.
유용세균은 식품을 가공하거나 항생물질로 이용하고, 유해세균은 여러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으로 파상풍균·콜레라균·디프테리아균·결핵균 등이 있다.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중에는 세균, 바이러스, 리케차 등이 있는데, 감염증의 대부분은 세균으로 인한 것으로 모든 장기가 감염될 수 있다. 원래 인체에 병원성 세균이 침입하면 기본적인 면역계에서 방어하지만, 효과적으로 병원성 세균을 제거하지 못할 경우에 인체에 질환이 나타난다. 감염된 장기에서는 열이 나고, 염증 반응이 생기며, 세균의 수가 증가한다.

세균 중에는 질환을 일으키지 않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대장·피부·구강·질 등에는 상재균이 있는데, 병을 일으키지 않을 뿐 아니라 인체 내에서 이로운 작용을 한다. 여름이 오고 장마철이 되면, 기온이 오르며 후덥지근한 날씨가 계속돼 우리 몸을 불쾌하게 만든다. 이런 불쾌함을 오히려 반가워하는 이들이 있으니 바로 각종 세균과 곰팡이등 미생물이다. 눈엔 보이지 않지만 집안과 일상 곳곳에 숨어 있는 미생물은 우리의 위생을 조금씩 갉아먹는 '여름철의 적'이다.

헌집 증후군

1곰팡이
집안 곰팡이는 온도가 섭씨 20∼30도, 습도는 60% 이상에서 가장 잘 증식하는데 겨울철에 난방과 가습기 가동으로 인해 곰팡이의 서식에 알맞은 환경이 조성됩니다.건물 단열이 허술한 헌집일 경우 공기와 벽의 온도차가 15도 이상이 되면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벽에 부딪쳐 이슬이 맺히는 결로현상이 생긴다. 결로현상이 잘 생기는 창문 주변이나 벽 모서리 장판 밑, 욕실의 타일 등은 습기가 쉽게 차는 곰팡이 상습발생 지역입니다. 곰팡이는 그 자체보다 번식할 공기 중에퍼지는 포자가 위험하며,매우 미세한 포자는 호흡기로 흡입돼 각종 기관지염, 알레르기, 천식 등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곰팡이는 쾨쾨한 냄새로 메스꺼움, 피로감 등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피부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2리모델링
집안 분위기를 바꾸려고 인테리어 공사를 한 후 새집증후군과 같은 증상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벽지·본드·마감재등 에서 발생하는 클로로포름, 벤젠, 아세톤, 포름알데히드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비염, 두드러기, 천식, 기관지염 등을 일으킵니다. 또한 새 가구에서 나오는 자극적인 냄새 때문에 눈이 시리고 목이 따가운 경우도 있는데, 가구에 쓰이는 접착제와 방부제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3새집증후군
새집증후군은 신축주택에 사용된 건축재료로부터 포름알데히드(HCHO)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등의 유해 화학 물질이 지속적으로 방산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고, 이러한 물질들이 인체의 호흡기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함 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가구나 각종 스프레이 제품, 그리고 전자제품 등에서도 이러한 유해화학물질이 대량으로 발산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새집증후군이 최근에 더욱 문제시되고 있는 이유는 주택의 기밀성과 밀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과거의 주택은 문을 닫아 두어도 실내 공간에 빈틈이 많아 충분한 자연환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해 화학물질이 발생해도 농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 주택은 기밀성이 상당히 높아 졌기 때문에 자연환기에 의한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기계환기 설비를 갖추지 않은 주택에서는 유해물질이 지속적으로 실내공간에 축적되어 새집증후군의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